전 교 모 형 실 험
Full Bridge Model Test
교량의 내풍 거동은 주형, 주탑, 케이블 등의 복합적 영향과 주변 지형에 따라 달라지므로, 정확한 분석을 위해 전교 실험이 필요하며,
특히 가설 단계에서는 동특성이 계속 변하므로 3차원 내풍 안정성 검토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가설 단계에서는 동특성이 계속 변하므로 3차원 내풍 안정성 검토가 필수적입니다.
|
실제 교량의 내풍 거동은 주형 및 주탑, 그리고 케이블 등의 동특성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나타납니다. 또한, 주변 지형의 특성 상, 교축직각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풍하중이 작용하기 쉬운 교량이나 교축 방향으로 주형의 단면 형상이 변하는 교량에 대해서는 2차원 주형 진동 실험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진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교량 전체를 모형화하여 풍동 실험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가설 단계에서는 완성 단계와 전혀 다른 동특성을 보여주며 가설진행에 따라 교량의 동특성이 계속 변화하기 때문에 3차원적인 동적 내풍 안정성을 면밀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체 교량의 진동 실험에서는 주탑 실험과 마찬가지로 모형 자체가 탄성 거동을 하는 3차원 탄성체 모형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게 됩니다. 전교 모형 실험을 통해 얻어지는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형 및 주탑의 동적 내풍 안정성 : 와류진동, 플러터, 갤로핑, 버페팅진동 등의 발생풍속 및 진폭 ▣ 시공 단계별 내풍 안정성 검토 ▣ 풍향별 내풍 안정성 검토 ▣ 주변 지형에 의한 풍속 할증, 영각효과 등을 고려한 내풍안정성 검토 ▣ 데릭 크레인 등 가설 장비를 고려한 내풍 안정성 검토 ▣ 내풍 케이블 등의 제진 방안 필요성 검토 및 제안 |
TESolution
Total Engineering Solution in Wind Engineering and Vibration Control
142 Seungjin-gil, Gongdo-eup, Anseong-si, Gyeonggi-do, 17563, Korea
Tel : 82-31-658-2906
Fax : 82-31-658-2908
Contact : [email protected]
Copyright © 2016 TESolution
Total Engineering Solution in Wind Engineering and Vibration Control
142 Seungjin-gil, Gongdo-eup, Anseong-si, Gyeonggi-do, 17563, Korea
Tel : 82-31-658-2906
Fax : 82-31-658-2908
Contact : [email protected]
Copyright © 2016 TESolution